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이번주에는 현재 주목받고 있는 스타트업, 무스마에서 제공하고 있는 솔루션 'mcas (이하 엠카스)'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합니다. 평소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회사인만큼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 엠카스(mcas)가 뭔가요?
엠카스는 Musma Construction Asset management System의 약자로 무스마에서 자체 기술을 개발하여 서비스하고 있는 사물인터넷 (이하 IoT) 기반의 산업 현장관리 솔루션입니다.
📌 엠카스는 어떤 솔루션을 제공하나요?
무스마는 엠카스 시스템에서 크게 두 가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바로 안전관리 시스템과 자산관리 시스템입니다. 이 두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안전관리 시스템
엠카스의 안전관리 시스템은 다시 3가지 기능으로 분류됩니다.
< 크레인 충돌방지 시스템 >
- 자체 개발한 크레인 모션 측정 기술과 센서를 통해 크레인의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충돌 위험 정보를 제공합니다. 충돌위험을 사전에 쉽게 인지하고 현장 안전관리 및 크레인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킵니다.


< 크람쉘 협착 방지 시스템 >
- 현장 내 크람쉘 작동을 감지해 알림을 주는 건설 안전 시스템으로 크람쉘 승, 하강 시 감지 센서를 통해 위험을 알려 크람쉘 협착 방지 및 안전 사고 방지가 가능합니다.


< 중장비 구역 이탈감지 >
- 운행 중인 철로, 선로 주변 공사 현장에서 중장비 및 근로자가 위험 지역으로 침범할 때 센서가 감지 후 알림을 주어 철도 건설 현장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자산관리 시스템
자산관리 시스템에서는 중장비, 자재, 작업자에 대한 관리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중장비관리 모니터링 >
- 중장비의 위치,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동 효율 및 위치 정보를 분석합니다. 중장비에 대한 최적의 배치, 유휴시간 관리, 유지보수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자재관리 모니터링 >
- 건설현장의 중요 자산인 자재의 위치와 수량을 자재 위치 추적 기술과 RFID 기술의 응용을 통해 정확하고 간편하게 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사물에 고유코드가 기록된 전자태그를 부착 후 무선신호를 통해 해당 사물의 정보를 인식·식별하는 기술
< 작업자관리 모니터링 >
- 위치 모니터링 기술과 센서를 통해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다수의 업체에서 협업하는 작업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고객들은 엠카스를 언제, 어떻게 사용하나요?
엠카스를 사용하는 고객들은 주로 건설업에서 일하는 관리자들입니다. 건설 현장은 여러 중장비와 건설자재들이 존재하고, 그에 따른 안전재해에 대한 방지와 자재 및 현장 인력들에 대한 관리를 필요로 합니다.
엠카스의 자체 모니터링 솔루션 MTS를 통해 RFID와 GPS를 활용해 자재의 위치데이터를 수집하여 현장 내 관리 프로세스 자동화를 통해 건설사와 협력업체의 인력추가 투입 및 역량 리스크 최소화가 가능합니다. 또한 자재 하나하나마다 생산부터 설치까지의 이동경로를 웹, 모바일로 확인이 가능해 자재관리 생산성 향상 및 연속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 최근 우리나라의 건설 현장은?
고용노동부가 지난 1월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611건의 산업재해로 644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그 중 사망자 절반 이상이 건설업 근로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업종별로 보았을 때, 건설업에서 341명(328)건으로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그 뒤로 제조업, 기타 산업이 뒤를 잇고 있으며, 건설업 53%, 제조업 27%, 기타업종이 20%의 비율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상시 근로자가 50인 이상 사업장인 경우 중대재해처벌법이 처음 시행된 2021년에 비해 사망자가 오히려 증가했습니다.

이를 보면 아직까지도 우리나라의 건설 현장은 안전에 있어 사각지대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위의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 현재 우리나라는 건설현장의 안전을 위해 나라에서 법을 시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눈에 띄게 개선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 그렇다면 건설 현장 시장은 어떤가요?
앞서 말씀드린 건설 현장에서의 안전관리를 비롯하여 자재와 장비에 대한 관리도 쉽지 않은데요.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먼저 현장에 있는 수 만개의 자재를 수기로 관리하고 있는데, 그것을 담당하는 인력은 턱 없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수기로 처리하다보면 자재분실, 오용 등에 대한 이력도 남아있지 않으며 자재 주문의 시기 또한 체계적으로 잡혀 있지 않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건설업에 기술이 첨가된 콘테크(건설+기술)가 등장하면서 건설업계에서 각광받고 있습니다.
⭐ 콘테크
스마트 건설이 트렌드로 대두되면서 등장한 건설(Construction)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 기술을 오프라인 건설 현장에 적용해 업계의 생산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개념
때문에 콘테크를 내세운 스타트업이 대규모 투자금을 조달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최근 현대차그룹 제로원의 전략적 투자 유치에 성공한 콘테크 스타트업인 엔젤스윙이 그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지요.
이처럼 그동안은 뒤처졌던 건설 현장의 디지털 전환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어 국내에서는 성장 가능성이 큰 분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 무스마의 라이벌! 경쟁사들은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나요?
요즘 스마트 건설이 대두되고 있는 만큼 타 기업들도 건설 현장 시장에 뛰어들었을 것 같은데요. 그래서 타 기업들의 서비스 사례를 찾아봤습니다.
💡 카카오 AI챗봇을 활용한 원스톱 플랫폼, '어깨동무M'

어깨동무M은 카카오톡의 인공지능 챗봇 기반인 클라우드 공정관리 서비스 티팩 (t-fac)을 기반으로 개발된 건설현장 소통 플랫폼인데요. 카카오톡 AI챗봇으로 건설 현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현장 관리를 디지털화하여 효율적인 안전 관리를 유도합니다.
최근에 사후 관리 기능이라는 것이 새로 추가가 되었는데, 해당 기능을 통해 고객은 아파트 건축 완공 후 발견되는 문제점들을 카톡 AI챗봇으로 접수 및 보수 완료 여부를 모바일로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 드론 데이터 솔루션, '엔젤스윙'


앞서 건설 현장 시장에서 잠시 언급했던 시공관리 플랫폼인 엔젤스윙입니다. 엔젤스윙 역시 시공관리와 안전관리라는 두 가지 형태의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드론으로 촬영 후 3차원으로 가상화되는 현장 데이터를 기록하고, 손쉬운 공유 기능으로 원활한 협업 및 현장 리포팅과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합니다. 또한 엔젤스윙의 경우 산업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AD 도면 및 BIM 데이터와 호환 가능하여 효율적으로 업무를 진행할 수 있게 하며, BIM을 기반으로 하는 토공 물량 산출이 가능합니다.
⭐ BIM (빌딩 정보 모델링)
시공 자산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전체적인 프로세스
특히, 엔젤스윙의 경우 현장 가상화를 통해 실제 크기의 3D 모델링 후 장비 위치 지정부터 경로 계획의 시뮬레이션까지 가능합니다. 즉, 해당 솔루션 내에서 현장에 있는 것처럼 실감나는 안전 관리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작업 계획을 날짜별로 현장 변화를 기록할 수 있습니다.
📌 엠카스만의 매력, 'LoRaWAN'
LoRaWAN 은 저전력 광역 네트워킹 프로토콜로서 주요 IoT에 최적화된 통신입니다. 무스마는 이 LoRa 통신을 직접 개발하여 조선, 건설, 철강 등 다양한 산업현장을 타겟할 수 있는 기본적인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했습니다.

무스마의 LoRa 통신은 고정밀 측위 및 초저전력 기술 기반으로 센서와 전용 무선망 연결을 통해 현장 정보를 실시간으로 감지 및 제어합니다. 또한 통신 감도에 따른 여러 기능을 더해 변화가 잦은 산업현장의 환경에서 안정적인 통신감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엠카스 vs 엔젤스윙 vs 어깨동무M
엠카스를 비롯해 제가 생각하는 두 경쟁사에 대해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포지셔닝 맵을 세워보았습니다.

각 서비스의 강점들을 간략하게 나열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 엠카스 : 자사 보유 기술 (현재 특허 8개 등록)
- 엔젤스윙 : 드론의 리얼리티 캡처 기반 3차원 가상화 (메타버스)
- 어깨동무M : 앱 설치 필요없는 카카오톡AI챗봇 기반 원스톱 현장관리
📌 무스마의 엠카스 활용 방법
💡 엠카스의 수익구조와 비즈니스 모델
IT기업의 수익 모델은 크게 3가지로 나뉩니다. 사용자에게 유료 서비스를 제공해 수익을 얻는 판매 모델, 무료 서비스 제공 후, 서비스에 광고를 붙이는 광고 모델, 고객이 서비스 내 입점한 고객에게 비용 지불 시, 그에 따른 수수료를 얻는 중개 모델 등이 있습니다.
무스마는 엠카스와 함께 크레인 충돌 방지 시스템을 개발하고, 10 여 개의 안전 시스템을 확장을 통해 현장에 적합한 시스템을 설치하고 매월 구독료를 받고 임대 및 관리를 해주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한 상황입니다.
따라서 엠카스의 수익 구조는 판매 모델이며, 그 중에서도 매달 일정한 구독료를 받는 정기 구독 모델이 기반인 것으로 보여집니다.
📌 무스마의 '미션'과 '비전'
다음은 무스마의 신성일 대표님의 인터뷰 중 발췌한 내용입니다.
💡 무스마의 탄생 배경은 무엇인가요?
"더 많은 사람과 사회에 기여하고 싶었습니다. 조선소에서 일하면서 많은 노동자가 죽거나 다치는 것을 보았습니다. 알고보니 우리나라가 OECD 국가 중 산업재해율 1위더라고요. 이러한 문제를 제가 가진 역량으로 해결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창업해서 고용창출과 기부환원을 통해 사회에 기여하고 싶다는 생각으로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 앞으로 꿈꾸고 있는 무스마는 어떤 모습인가요?
"Site Digitalization by IoT라는 슬로건 아래 ICT 기술을 통해 산업현장을 혁신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은 무엇보다 결국 사람을 위한, 사람이 먼저인 그리고 사람을 향하는 일이 되어야 합니다.
더 효율적인 현장 그리고 더 안전한 현장을 만들어 5년 안에 글로벌 경쟁력까지 있는 유니콘 기업으로 만들고 싶습니다."
무스마는 대표님의 산업 현장에 대한 열악한 안전성에 대한 자각과 함께 이 문제를 해결해보고자 무스마라는 기업을 설립, 엠카스라는 서비스를 개발하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앞서 보여드린 통계자료에서 보여주듯, 건설 현장에서 다치거나 사망하시는 근로자들의 안전성 개선을 위해 시작하셨고, 그것이 곧 사람을 위한 서비스를 만들자는 하나의 미션으로 자리잡은 것 같습니다. 그 미션을 통해 "안전한 산업 현장"을 만드는 것. 그게 무스마가 설립된 이유이자, 궁극적인 비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 내가 생각하는 '엠카스'의 개선안
최근 무스마는 올해 2분기에 360도 어라운드 뷰 충돌방지 시스템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는데요. 기존 시스템들과 함께 생각해본 결과, 현재 엠카스는 '건설 현장'에 집중되어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와 함께 LG유플러스에서 건설 현장의 안전성 향상에 대한 방안으로 웨어러블인 '스마트 안전장구'의 사용성 향상을 통해 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선다고 했던 기사를 발견했습니다.

이에 대해 무스마에서도 '건설 현장'에만 집중할 것이 아니라, 건설 현장에 있는 '근로자' 개개인의 안전에 대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습니다.
때문에 무스마에서 건설 현장의 '근로자에 대한 안전장비 관리' 에 대한 솔루션을 만들어 고객들에게 제안해본다면, 건설 현장 시장에서 현장과 근로자 개개인의 안전 모두를 사로잡을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We build digital transformation in Industry
산업 현장의 디지털화를 통해 더 안전하고 생산성 높은 현장을 만들어갑니다.
끝으로 무스마 기업의 비전 문구를 인용하며 마무리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적극적인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참고
무스마 공식 홈페이지, 공식 블로그
엔젤스윙 공식 홈페이지, 공식 블로그
https://www.etnews.com/20230219000035
http://www.ikld.kr/news/articleView.html?idxno=252228
https://www.fnnews.com/news/202303281731011766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302094884i
http://www.sbiztoday.kr/news/articleView.html?idxno=13217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32210200569620&outlink=1&ref=://
https://www.k-consafetyexpo.com/fairBbs.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