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스테이츠 PMB 18기] 마지막 회고. 13주간 여정을 마무리하며
·
✏PMB 18
오늘 아침에 눈뜨자마자 들었던 생각. "뭐했다고 수료식이지? 벌써 끝이야..?" 그만큼 하루하루가 정신 없이, 또 바쁘게 지나갔던 13주. 그 간의 전반적인 회고를 하면서 PMB 과정을 마무리해보려 한다.  📌 1-8주. PM 기본기 다지기첫 주차부터 8주간은 강의를 듣고, 과제로 선정한 하나의 프로덕트를 매주 강의 주제에 맞게 분석하고 개선안을 찾아내보는 기간이었다. 해당 기간을 통해 막연하게 생각했던 서비스 기획에 대해 구체적으로 어떤 식으로 문제를 도출하고, 개선안을 찾아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는지, 데이터는 어떤 식으로 수집하고 분석해야 하는지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시간이었다. 매주 과제를 제출하면서 내게 부족한 측면이 무엇인지 돌아보고 어떤 부분을 더 다져야 하는지 돌아볼 수 있었다. ..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위클리 과제 마무리와 함께, 8주차 회고
·
✏PMB 18
📌 시작하며7주차를 마무리하고, 이번 주차를 맞이하면서 내뱉은 말. "뭐했다고 8주차지..?"눈 깜짝할 새 8주라는 시간이 흘러 어느덧 마지막 과제를 작성하고 있던 내 모습에 소름돋던 주차였다. 시간 너무 빠른 거 아니냐고..?그만큼 너무 빨리 지나가기도 했고, 벌써 교육기간의 반 이상을 지나왔구나 하는 마음에 시원섭섭(?)하기도 했던 주차였다. 그럼 본론으로 돌아가서, 이번주 활동들도 간략하게 정리함으로써 돌아보고, 마무리 해보자.  📌 8주차. 애자일, 애자일, 애자일이번주 내내 들은 그 이름, 애자일. 웹 개발 프로젝트 당시 개발 프로세스 방법론이라고만 들어왔는데, 이게 프로덕트 개발 그 자체에도 적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라는 걸 이번 주차 강의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그와 동시에 작년 웹 개발 ..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8. 패스오더 개선에 대한 유저 스토리 작성과 이해 관계자의 요구사항 파악하기
·
✏PMB 18
안녕하세요, 꾸우._.입니다. 이번주에는 패스오더 개선사항에 대한 유저 스토리를 작성해보고, 그에 따른 이해 관계자의 요구사항을 파악 후 정리해보겠습니다. 📌 패스오더에서 고쳤으면 할 문제와 개선해야 할 기능 줄곧 과제로 분석해 온 패스오더에 대한 개선사항을 찾아보았는데요. 지난 과제에서 MVP 개선안으로 제시했던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입니다. 💡 주문, 결제 시 원하는 시간을 선택해 수령 시간을 설정해도 매장 상황에 따라 제 시간에 못 받는 경우가 있다. 해당 부분에 대해서 네이버 블로그에 후기를 남겨주신 분의 게시글을 참고했습니다. 지난 과제 진행 중 발견했던 한 고객님의 경험입니다. 출퇴근 시간에 바로 수령할 때도 있지만 매장이 너무 바쁘면 오히려 기다리다가 출퇴근 시간에 늦을 뻔한 적 있다고..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정신줄 잡아당기기 바빴던 6, 7주차 회고
·
✏PMB 18
📌 시작하며5주차까지 회고록 마무리를 지은 후, 6주차 회고를 쓰려고 했으나..과제를 진행하면서 데이터 분석에서 엄청나게 헤맨 탓에 회고를 놓쳤다...ㅠ 또 미룬 나 자신 정신차려 (챱챱)일단은 노션 페이지에 기록해둔 내용들을 바탕으로 2주치 회고록을 작성해보겠다. 📌 6주차. 쉽지 않다, 데이터 분석6주차에 배운 것 중 생각나는 건 '플로우차트'와 '데이터 분석' 이다. 마침 친구와 앱 아이디어 공모전을 준비 중이었는데, 친구가 플로우차트, 내가 와이어프레임을 맡아 작업 중이었던 상황에 당장 필요하다 여긴 부분이었다. 우선 친구가 작성한 플로우차트를 내가 읽어낼 수 있어야 하기에 그런 이유도 있었지만 전에 진행했던 프로젝트에 대해 유저 플로우가 하나도 수립되어 있지 않아서 추가로 작성해둬야 했기 때..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7. 랜딩 페이지와 API 분석을 통해 개발 프로세스 이해하기
·
✏PMB 18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이번주에는 웹 랜딩 페이지 분석과 API 분석을 통해 개발 프로세스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분석할 프로덕트는 지난 주차 과제들에서 몇 차례 언급했던 음원 플랫폼 'FLO'입니다. 📌 웹 랜딩 페이지 들여다보기 FLO를 웹에서 접속했을 때 보이는 랜딩 페이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개발자 도구를 통해 본 HTML 구조는 크게 '헤더', '섹션 홈', '푸터', '플레이어' 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자세한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Header Inner FLO 스와이퍼 배너 오늘 발매 음악 오늘 인기 오디오 TOP20 추천 플레이리스트 1 : 오늘 뭐 듣지? 장르 콜렉션 추천 플레이리스트 2 : 노래는 내가 틀게, 넌 운전만 해 Editor's Pick 하단 컨텐츠..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6. 패스오더의 플로우 차트 작성, 관련 데이터 분석 해보기
·
✏PMB 18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이번 6주차에는 패스오더의 메인 기능들에 대한 흐름을 알아보고 플로우 차트를 작성하고, 패스오더와 같은 스마트 오더 서비스와 관련하여 데이터를 수집, 분석, 시각화해보겠습니다. 📌 패스오더의 Flow Chart 패스오더의 메인 서비스는 스마트 오더이기 때문에 패스오더의 화면에서 보여지는 주요 기능들을 기반으로 총 3가지 유형의 플로우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홈] 화면에서 매장 선택 후 주문 [주문내역] 화면에서 통해 기존에 주문했던 메뉴 재주문 [자주 가요] 화면에서 매장을 선택해 메뉴 주문 💡 [홈] 화면에서 매장 선택 후 주문하기 첫 번째로, 사용자가 홈 화면에서 매장 선택 후 주문 시 발생하는 플로우입니다. 위의 플로우를 나눠 확대시켜 보겠습니다. [홈] 화면에서 ..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정신 없이 달린 5주, 그 간의 밀린 회고
·
✏PMB 18
📌 시작하며회고가 필수는 아니지만, 되도록이면 권장한다고 했었다. 그래서 사실 매주 과제 제출한 후에 회고를 써야지 했는데, 과제만 끝내고 나면 녹초가 돼서 늘어지는 바람에 결국 이제서야 첫 회고를 작성한다.제때 쓰진 못해도 그때 당시 생각, 감정 같은 것들은 메모라도 해둘걸 그랬다 싶다. 그렇지만 이왕 이렇게 밀린 거 기억을 회상하면서 주차별로 간단하게 회고를 정리해볼까 한다. 부트캠프 시작 전, 나는 개인적으로 프로젝트 매니저에 대해 공부하고 싶어 인터넷 강의를 수강하는 중이었다. PM이라는 직군으로 취업을 희망하게 된 것은 작년 하반기에 참석했던 웹 개발 부트캠프에서였다. 모든 개발 프로젝트 마무리 후, 마지막 주에 취업 준비와 관련된 활동을 하면서 1:1 비대면 멘토링 활동을 했었다. 그 때 포..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5. 패스오더 A/B 테스트 계획 세우기
·
✏PMB 18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이번주에는 패스오더를 분석하면서 선정한 MVP를 바탕으로 A/B 테스트 계획을 세워보겠습니다. 📌 시작 전 워밍 업 지난 과제에 이어 워밍 업 프로덕트로 다시 플로를 선택했습니다. 지난 주 UX 개선점을 정리했으나, 다소 주관적이었던 점을 고려해 해당 프로덕트를 다시 찬찬히 훑어보았는데요. 그 때 플로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몰랐던 사실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해당 프로덕트를 조금 더 깊게 들여다보고 싶어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 FLO의 각 Funnel 플로에서의 퍼널은 사용자가 어떤 서비스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 스트리밍 서비스 사용자 회원가입 → 첫 달 100원 → 유료 구독 → 제휴 통신사 회원 유도 → T 멤버십 고객 한정 6개월 30..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4. 패스오더 UX 개선해보기
·
✏PMB 18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이번주에는 지난 과제들에서 선정한 MVP에 대한 UX 개선 및 개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시작 전 워밍업 현재 하고 있는 패스오더 외에 다른 프로덕트의 UX에 대해 분석해보고, 개선안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여기서 제가 선정한 프로덕트는 제가 약 6개월 가량 실사용해본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인 'FLO' 입니다. 💡 FLO의 좋은 UX FLO에서는 본인의 선호하는 음악 장르, 아티스트 등 음악 취향을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는데, 이런 사용자의 설정과 사용자가 최근에 들은 음원을 바탕으로 여러 기능을 제공합니다. [홈] 탭의 '좋아할 만한 아티스트 MIX' FLO를 켜면 제일 먼저 나오는 메인 페이지에서 최상단 영역에 위치한 기능입니다. 배너 형태로 구성되며 인디케이터 ..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3. 패스오더의 BMC와 OKR 만들어보기
·
✏PMB 18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이번주에는 지난주 패스오더 MVP 선정에 이어 BMC (Business Model Canvas,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통한 비즈니스 모델 분석과 그에 따른 OKR(Objective Key Results, 목표 및 결과 지표)을 수립해보겠습니다. 📌 내가 생각한 패스오더의 BMC 아래 사진은 지난 1, 2주차 과제를 바탕으로 작성한 패스오더의 BMC입니다. 💡 목표 고객 패스오더의 주요 목표 고객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기다림 없이 커피를 테이크아웃 하고 싶은 직장인 스마트 오더 서비스를 매장에 도입하고자 하는 개인 브랜드, 중소 프랜차이즈 매장을 운영하는 소상공인 💡 제공 가치 패스오더는 목표 고객에 따라 서로 다른 가치를 제공합니다. 패써(패스오더 사..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2. 고객의 눈으로 바라본 패스오더의 솔루션과 나의 개선안
·
✏PMB 18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이번주에는 '패스오더' 에 대해 고객의 관점에서 느꼈을 문제 상황에 대해 분석하고, 개선안을 정립하여 MVP에 맞춰 정리해보겠습니다. 설명에 앞서 추후 과제 진행 상황을 고려해 프로덕트를 재선정하여 분석했음을 말씀드립니다. (1주차 과제물도 패스오더 분석 후 공개 게시할 예정입니다.) 📌 꾸우._. 가 직접 사용해 본 패스오더의 주요 기능과 특징 작년 3개월 동안 직접 사용해 본 제 경험을 바탕으로 기능과 특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위치 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브랜드명 옆의 가맹점 명은 가렸습니다.) 제공되는 여러 매장 리스트 중 한 곳을 선택해 클릭하면 선택된 매장에 대한 기본 정보가 나옵니다. 좌측 [정보] 탭에서 해당 가게에 적립된 사용자의 스탬프 또는 포인트가 얼마..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1. 소상공인 카페 스마트 오더, '패스오더'를 들여다보다. (프로덕트 재선정)
·
✏PMB 18
📌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지난번 무스마의 산업현장 관리 서비스인 엠카스 분석 이후, 추후 진행 상황을 고려해 프로덕트를 재선정하여 다시 재분석하게 되었습니다. 먼저 재선정한 프로덕트에 대한 선정 계기를 말해보겠습니다. 작년에 웹 개발 프로젝트 활동을 하게 되어 매일 같이 팀원들과 대면으로 프로젝트 진행을 했었는데요. 그렇다보니 하루종일 한 자리에 앉아 기능에 대한 고민과 구현 작업을 하는 것이 체력 소모가 매우 컸습니다. 심지어 저는 아메리카노 러버였기 때문에 점심, 저녁 식사 후 커피 한 잔은 제 필수 코스가 되어버렸죠. 하지만 프로젝트 진행 초기에는 근처 지리에 대해서 무지했었기 때문에 근처에 얼마나, 어떤 카페들이 있는지 전혀 몰랐습니다. 그래서 찾아볼까 했었지만 직접 걸어다니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