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디자인 가이드라인, 디자인 시스템 (Design System)
·
🙋‍♀️PM/UI·UX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이번에는 UX, UI를 비롯한 디자인 스타일의 가이드라인을 잡아주는 디자인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고 정리해보겠습니다. 📌 시작 전, 디자인 가이드 종류 UI 가이드라인 (스타일 가이드) UX 가이드라인 디자인 시스템 UI를 표준화하고 화면 간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이드 주요 화면에서 사용하는 공통 UI 패턴과 주요 컴포넌트를 추출해 정의 후 상세 속성 규정 개발자, 디자이너가 정해진 기준에 따라 UI를 설계할 수 있도록 함 서비스와 브랜드 측면에서 사용자가 일관적이고 차별화된 경험을 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 사용자 맥락을 재구성하여 사용자 입장에서 서비스를 설계하도록 가이드라인 구성 브랜드 측면에서는 해당 브랜드의 정체성이나 색을 전달하도록 하는 기능 정의, 네이밍, ..
34. 와이어프레임과 프로토타입, 뭐가 다를까요?
·
🙋‍♀️PM/UI·UX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이번에는 프로덕트 설계 시 뼈대가 되는 와이어프레임과 출시 전 제품 시뮬레이션을 위해 만들어지는 프로토타입에 대해 알아보고 정리해보겠습니다. 📌 와이어프레임 (Wireframe) 와이어프레임은 제품을 구성하는 서로 다른 레이아웃을 Lo-fi (Low-Fidelity) 단계로 구현한 것을 의미합니다. 즉, 간단한 모양만을 사용해 인터페이스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와이어프레임은 실제 완성된 제품과는 전혀 다른 모습입니다. 즉, 디자인적 요소가 포함되기 전 상태이며, 화면 내 인터페이스에서 생략된 부분은 자리 표시자 (X로 표시된 원, 사각형 등)로 나타낸 것입니다. 구조 (페이지 구성 요소 방식), 기능 (인터페이스 동작 방식), 콘텐츠 (..
33. IA와 유저 플로우로 UX설계하기
·
🙋‍♀️PM/UI·UX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이번에는 UX 설계를 위한 정보구조도 (IA), 화면 흐름도 (User Flow) 작성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 IA (Information Architecture) IA는 서비스의 전체적인 구조를 지탱하는 뼈대입니다. 즉, 우리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려는 정보와 이용에 관한 구조적인 설계를 의미합니다. 즉, 서비스 제공 전, 정보 설계를 구축해 전체 서비스의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사용자가 뭔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찾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IA 설계 방법 IA는 서비스 전체를 아우르기 때문에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외부와 내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외부 요소에 대해 먼저 파악한 후 내부 요소를 적용시켜 IA..
30. UX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 알아보기
·
🙋‍♀️PM/UI·UX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이번에는 현업에서 서비스 설계 시 사용하는 디자인 기법에 대해 알아보고 정리해보겠습니다. 앞서 이전에 포스팅한 디자인 씽킹과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에 관련해서는 링크를 첨부하니 참고하시길 권장합니다. 11. 디자이너의 관점으로, Design Thinking Process과 Double Diamond Process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오늘은 지난 고객 집착에 이어 Design Thinking에 대한 프로세스와 함께 Design Thinking에 항상 함께 따라오는 Double Diamond Process에 대해 다뤄보고 정리해보겠습니다. 📌 Desig jkkou.tistory.com 📌 디자인 씽킹 (Design Thinking) 디자인 씽킹은 디자이너의 관점..
29. 좋은 UX를 위해 PM으로서 갖춰야 할 것
·
🙋‍♀️PM/UI·UX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이번에는 좋은 UX의 의미와 이를 위해 필요한 요소들을 알고, PM이 좋은 UX를 만들기 위해 갖춰야 할 역량에 대해 알아보고 정리해보겠습니다. 📌 좋은 UX는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성공적인 UX 디자인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요구, 니즈 및 가치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좋은 사용자 경험은 한 가지 요소로 한정되어 정의할 수 없습니다. 사용자와 제품/서비스 간의 개별적인 상호작용은 고유한 잠재력을 보이는 영역이며, 모든 디자인은 각기 다른 목표를 갖습니다. 💡 사용성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좋은 UX 디자인을 갖춘 제품이란 단순히 '사용성이 있는 제품' 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사용성이 중요하긴 하지만 사용자 경험의 전체를 만족시키는 데 충분하지는 ..
28. UX와 UI, 뭐가 다를까요?
·
🙋‍♀️PM/UI·UX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이번에는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UX, UI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 정리해보겠습니다. 📌 UX ≠ UI : UX와 UI의 차이점 UI와 UX의 가장 큰 차이점은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에 있습니다. UI는 사람들이 제품과 상호작용할 때 이용하는 기능으로, 기술적인 영역입니다. 그러나 UX는 이 기능에, 사용자가 어떻게 반응하고, 무슨 기분을 느끼며, 그로 인해 어떤 행동을 하는지 등을 모두 고려합니다. 다시 말해 기술에 바탕을 둔 감정적인 영역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UX를 UI보다 더 포괄적인 개념으로 보고 있습니다. 제품 개발 과정에서는 UX가 먼저고, 그 다음이 UI입니다. 즉, 사용자 (고객)가 쓰기 좋은 제품은 그들의 니즈, 또는 문제를 잘 아는 것에서 ..
27. 사용자 경험과 인터페이스, UX, UI, GUI 알아보기
·
🙋‍♀️PM/UI·UX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오늘은 사용자 경험과 그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UX, UI, GUI에 대해 알아보고 정리해보겠습니다. 📌 UX, UI, GUI 💡 UX (User Experience) UX의 사전적인 의미로 '사용자가 어떤 시스템, 제품 또는 서비스를 직·간접적으로 사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는 총체적 경험'를 말합니다. 즉, 사용자가 느끼는 경험 그 자체인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기서 UX 디자인이란 사용자가 더 나은 경험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모바일 앱과 웹, 태블릿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하여 막힘 없이 정보를 찾고 사용할 수 있도록 집중하는 작업에 대한 경험을 디자인하는 일을 의미합니다. 💡 UI (User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