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원본 : PM이 하는 일
📌 PM
- Project Manager
- IT 프로젝트의 총괄 업무
- Product Manager
- IT 상품 개발 및 개선 총괄 업무
📌 PM 주요 업무
- 제안/수주
- IT 개발 사업을 수주하기 위한 업무 지원
- 프로젝트 준비
- 사업 수주 후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준비
- 프로젝트 진행 관리
- 개발 프로젝트 전체 진행 관리
- 이후 관리
- 프로젝트 종료 과정부터 그 이후 관리
📌 단계별 상세 업무
- 제안/수주
- 영업 지원
- 신규 사업을 발굴하기 위한 영업 활동 지원
- 제안서 작성 지원
- 고객이 발주한 사업에 대한 제안서 작성 지원
- 제안 발표
- 작성된 제안서 발표
- 반드시 PM이 해야 됨
- 클라이언트 측에서 이 사람이 정말 프로젝트를 잘 관리할 수 있는 사람인지 보려고 하기 때문
- 수주
- 수주가 확정된 이후 사전 협상 및 계약 지원
- 업무 및 소통 방식 등을 정립
- 수주가 확정된 이후 사전 협상 및 계약 지원
- 영업 지원
- 프로젝트 준비
- 투입인력 계획
- IT 개발 사업을 진행할 인력에 대한 상세 계획
- 투입인력 소싱
- 인력 계획에 따른 투입 인력 확보 지원
- 사업 수행계획
- 사업 수행을 위한 계획서 (공공 필수, 민간 생략 가능)
- 기타 준비
-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장소, 방법 등 다양한 협의
- 투입인력 계획
- 프로젝트 진행 관리
- 진행 일정 계획/관리
- IT 개발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전체 일정 계획 (WBS)
- 주요 보고 진행
-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주요보고 (주간, 월간, 착수, 중간, 종료)
- 개발 진행관리
- 개발 전 과정 관리 (기획, 디자인, 개발, 테스트)
- 기타 관리
- 프로젝트 진행 중 발생하는 다양한 이슈 및 인력 관리
- 진행 일정 계획/관리
- 이후 관리
- 검수
- IT 프로젝트 완료 후, 최종 확인 절차인 검수까지 진행
- 안정화 지원
- 개발된 IT 시스템 오픈부터 안정화 지원
- 급한 오류나 필요한 개선 사항 지원
- 유지보수 지원
- 프로젝트 종료 이후 계약 혹은 협의에 따른 유지보수 관리
- 신규사업 발굴
- 검수
📌 PM 업무 범위
- PM이 하는 업무의 역할은 회사의 상황이나 PM의 역량에 따라서 다 다름
- 3가지 경우로 분류 가능
- 프로젝트 진행 관리
- 최소 기준 (필수 업무)
- 모든 PM이 다 해야 함
- 프로젝트 준비 ~ 이후 관리
- 가장 일반적인 기준
- 대부분의 PM이 하는 업무
- 제안서 발표 (제안/수주) ~ 이후 관리
- 일반적으로 PM이 많이 하는 업무의 범위
- 제안/수주 ~ 이후 관리
- PM의 개인적인 역량이 있거나, PM의 주도권 영향이 큰 경우
- 프로젝트 진행 관리
- 단계별 PM 업무 지원 범위
- 제안/수주
- 사업관리/영업 담당자가 메인, PM은 지원
- 프로젝트 준비
- PM이 메인, 사업관리가 지원
- 프로젝트 진행 관리
- PM의 책임 영역
- 이후 관리
- 사업관리/영업 담당자가 메인, PM은 지원
- 운영할 때 해당 시스템을 잘 알고 있는 사람이 PM
- 따라서, 계약 조건 등의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 지원
- 사업관리/영업 담당자가 메인, PM은 지원
- 제안/수주
📌 PM 구분
- 전문 PM
- IT 프로젝트 관리만 전문적으로 진행
- 규모가 큰 프로젝트의 경우에 해당 ⇒ 전문적으로 관리할 인력 필요하기 때문
- 꼭 규모가 크지 않더라도 공공 사업 등과 같은 경우에는 전문 PM을 둠
- 기획자 PM
- 기획자가 PM 업무를 같이 진행
- 웹 에이전시 업체에서 많음
- 기획자가 화면을 기획하면서 개발적인 요소보다는 디자인이나 기획적인 요소가 많은 시스템을 개발하는 경우가 많음
- 개발자 PM
- 개발자가 PM업무를 같이 진행
- 기술 중심의 프로젝트의 경우
- 개발자가 PM업무를 같이 진행
- 기타
- 사업관리, 영업, 디자이너 등
- 프로젝트의 규모가 작은 경우 PM 업무를 병행하기도 함
- 사업관리, 영업, 디자이너 등
출처 : 인프런 - 시작하는 PM들을 위한 필수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