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프로덕트 (Product) 매니저
제품의 '무엇'과 '왜'에 초점을 둔 역할
- 고객의 문제 및 니즈를 이해하여 그것을 비전화하고 솔루션을 만들어 제품/서비스에 포함시킵니다.
- 구축하려는 게 고객에게 적합한 지 확인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적절히 활용하여 실제로 구축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 모든 사람의 능력을 이해한 상황에서 적절한 단어를 사용하여 모든 사람이 맞물리게 할 줄 알아야 하고, 공통된 목표인 좋은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그들을 움직여야 합니다.
- IT회사에서 프로덕트 매니저는 반드시 엔지니어링/개발 그룹이나 그와 동등하게 제품/서비스를 소유하고 그룹 내에 존재합니다.
프로덕트 매니저의 주요 업무
- 고객의 요청을 수렴하여 그 요청에 부합하는 솔루션을 제공
- 그 요청을 우선순위로 정리하고, 제품/서비스의 라이프사이클을 정의
- 전략적인 사업 목표/비전 business objective를 정의
- 해당 제품/서비스의 전체 책임자 (디자인, 개발, deployment, production)
- 수익 모델이나 홍보 마케팅에 대항 부분을 그룹 내 판매 및 마케팅부서와 긴밀히 상의
- 경쟁 제품과 경쟁력 비교를 통한 제품/서비스의 지속가능한 장점 구축
📌 프로젝트 (Project) 매니저
제품의 '언제' 에 초점을 두는 역할
- 팀이 업무를 기한에 맞춰 진행하고 선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 IT기업의 엔지니어링/개발 그룹에 있는 프로젝트 매니저의 경우
- 주로 스크럼 마스터 (Scrum Master) 라는 이름으로 프로젝트의 타임라인과 그 진행 스피드를 관리하게 됩니다.
- 즉, 사용가능한 리소스 (시간, 사람, 비용)로 정해진 시간에, 계획된 품질을 가진 제품/서비스를 출하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프로젝트 매니저의 주요 업무
- 위험 관리 (risk management)
- 자원 관리 (resource management)
- 범위 관리 (scope management)
📌 프로그램 (Program) 매니저
제품을 '어떻게' 에 열정을 다하는 역할
- “만들어지는 것”에 더 집중하며 제조, 생산 등과 같이 엔지니어링 & 운영 등을 긴밀히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 회사마다, 산업 부문마다 약간씩 다른 역할의 의미가 가감되어 있습니다.
- 회사의 경우에 따라 프로덕트 오너 (Product Owner) 로 불리기도 하고 딜리버리 매니저 (Delivery Manager) 의 개념도 존재합니다.
- 여기서 Delivery 란 여러 개의 프로젝트가 하나의 스위트 (Suite)를 이루어 같은 시기에 고객에게 제공되는 것을 말합니다.
프로그램 매니저의 주요 업무
- 엔지니어링/개발 그룹에 속해 있는 프로그램 매니저는 특정 기능을 소유한 프로덕트 오너
- 엔지니어링/개발 그룹에 대한 소속여부와 상관 없이 프로젝트 매니저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한다면 딜리버리 매니저
- 각각의 프로젝트를 조율하여 하나의 스위트로 나가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 그 때 회사에 따라서 해당 역할을 프로그램 매니저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따라서 프로그램 매니저는 각각의 프로덕트가 한 번에 세트로 묶여 나올 때의 비즈니스 임팩트와 그것을 분석해내는 역량이 요구됩니다.
참고 : https://brunch.co.kr/@ywkim3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