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프로덕트 팀은 어떤 구조로, 어떻게 일할까요?
·
🙋‍♀️PM
일반적으로 프로덕트 매니저는 팀에 소속되어 일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오늘은 프로덕트 매니저가 속한 팀이 어떤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품을 개발할 때 어떤 프로세스를 거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프로덕트 팀프로덕트 팀은 한 가지 상품/카테고리를 맡아 PO 또는 PM 중심의 개발자, 디자이너로 이루어진 팀 조직입니다. 여기서 PM은 작은 CEO라고 빗대어 볼 수도 있는데요. 개발자, 기획자, 디자이너 등의 여러 구성원들과 함께 협업하며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여러 역할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요구되는 역량들이 존재합니다. 💡 우선순위에 대한 결정 능력과 커뮤니케이션PM은 우선순위를 결정할 줄 알아야 합니다. 팀의 업무에 대해서 여러 사람들의 의견을 들음과 동시에 우선순위에 따라 단호하게 말할 줄 알아야 ..
[2023.04.03] "사업 가치", "고객 가치", "Cross Functional Team"
·
📓Diary/Keyword
📌 "사업 가치" 와 "고객 가치" 프로덕트 매니저는 하나의 제품을 통해 "사업 가치" 와 "고객 가치"를 창출하는 데 책임감을 가지고 임해야 하는 직군입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말하는 사업 가치와 고객 가치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오늘은 두 단어에 대한 의미를 생각해보고 정리해보려 합니다. 💡 사업 가치 프로덕트 매니저에게 있어 사업 가치란 PM 본인이 총괄하는 프로덕트가 세상에 나왔을 때 기업의 사업적인 측면에서 어떤 기대 효과를 불러올 수 있는지, 시대에 어떤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치라고 생각합니다. 사례) 세계 최초의 쓰레기 없는 슈퍼마켓 'Original UnverPakt (이하 OU)' 쓰레기 Zero 라는 컨셉을 바탕으로 식재료를 소포장하지 않고 판매하며, 그에 따라 쓰레기도 발생..
2. 프로덕트 매니저 vs 프로젝트 매니저 vs 프로그램 매니저
·
🙋‍♀️PM
📌 프로덕트 (Product) 매니저제품의 '무엇'과 '왜'에 초점을 둔 역할고객의 문제 및 니즈를 이해하여 그것을 비전화하고 솔루션을 만들어 제품/서비스에 포함시킵니다.구축하려는 게 고객에게 적합한 지 확인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적절히 활용하여 실제로 구축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모든 사람의 능력을 이해한 상황에서 적절한 단어를 사용하여 모든 사람이 맞물리게 할 줄 알아야 하고, 공통된 목표인 좋은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그들을 움직여야 합니다.IT회사에서 프로덕트 매니저는 반드시 엔지니어링/개발 그룹이나 그와 동등하게 제품/서비스를 소유하고 그룹 내에 존재합니다.프로덕트 매니저의 주요 업무고객의 요청을 수렴하여 그 요청에 부합하는 솔루션을 제공그 요청을 우선순위로 정리하고, 제품/서비스..
1. Product Manager 란?
·
🙋‍♀️PM
최근 IT업계에서 떠오르고 있는 직업군이자 제가 지망하는 직업군인 PM, Product Manager 에 대해 알아보고, 정리해보겠습니다. 📌 프로덕트 매니저란?고객의 문제와 니즈를 이해하고, 다음에 구축하려는 것이 고객에게 적합한지 확인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적절히 활용해 실제로 구축될 수 있도록 돕는 사람입니다. 투자 수익을 극대화하면서 비즈니스 목표와 사용자 요구 사항을 달성하기 위해 제품을 최적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업무에 임합니다. 📌 프로덕트 매니저가 갖춰야 할 역량UX (사용자 경험)비즈니스 내 사용자의 목소리라고 봐야 합니다. PM은 제품을 테스트하고, 사용자와 대화하고, 사용자로부터 피드백을 직접 받을 줄 알아야 합니다.Tech (기술)PM이 가장 많이 소통하는 사람 중 하나가 개..
3. 프로젝트 수행 상세 기술 (작성일자 : 2023.03.01)
·
🙋‍♀️PM/Project Manager
원본 : 프로젝트 수행 상세 기술 📌 프로젝트 수행 상세 기술 개요 프로젝트 제안 및 수주 사전 분석 (RFI), 사업 공고 제안요청 (RFP) ⇒ 제안요청서 분석 제안 및 견적 (RFQ) ⇒ 제안서 및 제안 발표 자료 작성 낙찰 (계약) ⇒ 견적서 작성 프로젝트 계획 및 시작 팀구성 (자회사-외주) ⇒ 팀빌딩 계획 및 인력 소싱 프로젝트 진행 전반 계획, 진행일정 구성 (대략적) ⇒ WBS 초안 작성 프로젝트 본격 시작 ⇒ 착수보고 작성 기획/설계 요구사항 분석 ⇒ 이해관계자 그룹 정의, 요구사항 분석 기능개발 정의 (WBS) ⇒ WBS 상세 작성 프로세스 정리 ⇒ IA 작성, 프로세스 흐름도 작성 상세화면 기획/설계 ⇒ 스토리보드 작성 관리 디자인 디자인 컨셉 확인, 디자인 시안작업, 시안 확정 및 ..
2. 프로젝트 전 과정 (작성일자 : 2023.03.01)
·
🙋‍♀️PM/Project Manager
원본 : 프로젝트 전 과정 📌 프로젝트 전 과정 프로젝트 제안 및 수주 사전 분석 (RFI) 사업 발주를 위한 사전 정보 수립 과정 직접 정보 조사 & 관련 사업자들에게 RFI 요청을 통해 정보 조사 사업 공고 제안 요청 (RFP) 사업 공고 공개 공고 & 사업 대상업체 우선 선정 참석 요청 민간 : 기업 홈페이지 혹은 아는 기업 업체에 공고 전달 공공 : 조달청을 통해 공개입찰 진행 제안 및 견적 (RFQ) 사업 제안 및 견적 (투입인력 공수 및 비용 산정) 제안서 : 요구하는 부분에 대해서 어떤 식으로 만들어내겠다라는 계획을 담은 문서 보통은 제안서 및 견적서 제출, 제안 발표를 통한 최종 심사 제안 발표 : 제안서를 요약해서 클라이언트 앞에서 발표 낙찰 (계약) 제안 내용 및 견적 검토를 통한 업체..
1. PM (Project Manager)이 하는 일 (작성일자 : 2023.02.13)
·
🙋‍♀️PM/Project Manager
원본 : PM이 하는 일 📌 PM Project Manager IT 프로젝트의 총괄 업무 Product Manager IT 상품 개발 및 개선 총괄 업무 📌 PM 주요 업무 제안/수주 IT 개발 사업을 수주하기 위한 업무 지원 프로젝트 준비 사업 수주 후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준비 프로젝트 진행 관리 개발 프로젝트 전체 진행 관리 이후 관리 프로젝트 종료 과정부터 그 이후 관리 📌 단계별 상세 업무 제안/수주 영업 지원 신규 사업을 발굴하기 위한 영업 활동 지원 제안서 작성 지원 고객이 발주한 사업에 대한 제안서 작성 지원 제안 발표 작성된 제안서 발표 반드시 PM이 해야 됨 클라이언트 측에서 이 사람이 정말 프로젝트를 잘 관리할 수 있는 사람인지 보려고 하기 때문 수주 수주가 확정된 이후 사전 협상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