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3. 패스오더의 BMC와 OKR 만들어보기
·
✏PMB 18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이번주에는 지난주 패스오더 MVP 선정에 이어 BMC (Business Model Canvas,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통한 비즈니스 모델 분석과 그에 따른 OKR(Objective Key Results, 목표 및 결과 지표)을 수립해보겠습니다. 📌 내가 생각한 패스오더의 BMC 아래 사진은 지난 1, 2주차 과제를 바탕으로 작성한 패스오더의 BMC입니다. 💡 목표 고객 패스오더의 주요 목표 고객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기다림 없이 커피를 테이크아웃 하고 싶은 직장인 스마트 오더 서비스를 매장에 도입하고자 하는 개인 브랜드, 중소 프랜차이즈 매장을 운영하는 소상공인 💡 제공 가치 패스오더는 목표 고객에 따라 서로 다른 가치를 제공합니다. 패써(패스오더 사..
18. 최소한의 모델, MVP (Minimum Viable Product)
·
🙋‍♀️PM/Process, Framework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오늘은 핵심 기능만을 담은 최소한의 제품인 MVP의 의미와 접근법, 방향성에 대해 알아보고 정리해보겠습니다. 📌 MVP의 의미 아이디어를 빠르게 제품화시키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완벽한 제품을 만드는 게 아니라 아이디어의 핵심을 구현하는 제품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처럼 아이디어의 핵심을 중심으로 고객의 피드백이 가능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능만을 구현한 제품을 최소기능제품 (MVP, Minimum Viable Product) 이라고 합니다. 즉, 고객이 사용해보고 창업자의 아이디어에 피드백을 줄 수 있는 정도의 기능을 담은 제품을 의미합니다. 📌 MVP의 형태 MVP는 어떤 아이디어로, 어떤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습니다. 개발 수..
17. 고객 가치 사슬, CVC와 Decoupling
·
🙋‍♀️PM/Process, Framework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오늘은 CVC와 Decoupling (디커플링)에 대해 알아보고, 정리해보겠습니다. 📌 CVC (Customer Value Chain, 고객 가치 사슬) CVC (Customer Value Chain, 고객 가치 사슬)이란 고객이 어떤 목표하는 바를 이루고자 할 때, 일련의 행위들을 하게 되는데 이 행위들마다 가치를 부여하여 순차적으로 정리한 것을 말합니다. 즉, 고객이 돈을 얼마나 내고, 얼마나 받는가에 대해 각 단계별로 정리한 것입니다. 💡CVC의 고객 가치 3종류 CVC에서는 크게 3가지의 고객 가치에 대해 고려합니다. 고객 가치 창출 (+) 고객을 위해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ex) 에어팟을 구매했다. 고객 대가 지불 (-) 창출된 가치에 대한 대가를 ..
16. 우리가 찾아야 할 인터뷰이, 페르소나
·
🙋‍♀️PM/Process, Framework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이번에는 인터뷰를 진행할 대상자, 페르소나 설정에 대해 알아보고, 정리해보겠습니다. 📌 우리가 찾아야 할 페르소나 (Persona) 페르소나(persona, 복수형 personas) 는 어떤 제품 혹은 서비스를 하용할 만한 다양한 사용자 유형들을 대표하는 가상의 인물을 의미합니다.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해, 시장과 환경, 사용자들을 이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가상의 인물을 묘사하고 그 인물의 배경과 환경 등을 설명하는 문서로 만들어지는데, 가상의 이름, 목표, 평소 느꼈던 불편함, 그 인물이 가지는 니즈 등으로 구성됩니다. 현재 SW 및 가전제품 개발 등의 분야에서 사용자 연구의 한 방법과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 페르소나 모집 ..
15. 유저 리서치 두 번째 방법, 인터뷰
·
🙋‍♀️PM/Process, Framework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오늘은 설문조사에 이어 유저 리서치 두 번째 방법인 인터뷰에 대해 알아보고 정리해보겠습니다. 📌 정확한 데이터 수집을 위한 The Mom Test 사업 아이디어가 좋은지 여부는 시장만이 얘기해줄 수 있다. 다른 것들은 모두 의견에 불과하다. The Mom Test는 사랑하는 엄마조차도 자식의 사업 아이디어에 대해서 100% 사실만 얘기 할 수 밖에 없게 만드는 대화 방법을 의미합니다. 동일한 이름의 도서에서는 고객의 행동과 의견을 분리해서 들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고객의 행동과 의견을구분할 수 있을까요? 가장 명쾌한 방법은 사업 아이디어에 대해 말해주지 않는 것입니다. 그럼 고객의 의견을 들을 수는 없지만 고객에게 그 사업 아이디어가 해결하려는 문제가 있었..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2. 고객의 눈으로 바라본 패스오더의 솔루션과 나의 개선안
·
✏PMB 18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이번주에는 '패스오더' 에 대해 고객의 관점에서 느꼈을 문제 상황에 대해 분석하고, 개선안을 정립하여 MVP에 맞춰 정리해보겠습니다. 설명에 앞서 추후 과제 진행 상황을 고려해 프로덕트를 재선정하여 분석했음을 말씀드립니다. (1주차 과제물도 패스오더 분석 후 공개 게시할 예정입니다.) 📌 꾸우._. 가 직접 사용해 본 패스오더의 주요 기능과 특징 작년 3개월 동안 직접 사용해 본 제 경험을 바탕으로 기능과 특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위치 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브랜드명 옆의 가맹점 명은 가렸습니다.) 제공되는 여러 매장 리스트 중 한 곳을 선택해 클릭하면 선택된 매장에 대한 기본 정보가 나옵니다. 좌측 [정보] 탭에서 해당 가게에 적립된 사용자의 스탬프 또는 포인트가 얼마..
[코드스테이츠 PMB 18기] W1. 소상공인 카페 스마트 오더, '패스오더'를 들여다보다. (프로덕트 재선정)
·
✏PMB 18
📌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지난번 무스마의 산업현장 관리 서비스인 엠카스 분석 이후, 추후 진행 상황을 고려해 프로덕트를 재선정하여 다시 재분석하게 되었습니다. 먼저 재선정한 프로덕트에 대한 선정 계기를 말해보겠습니다. 작년에 웹 개발 프로젝트 활동을 하게 되어 매일 같이 팀원들과 대면으로 프로젝트 진행을 했었는데요. 그렇다보니 하루종일 한 자리에 앉아 기능에 대한 고민과 구현 작업을 하는 것이 체력 소모가 매우 컸습니다. 심지어 저는 아메리카노 러버였기 때문에 점심, 저녁 식사 후 커피 한 잔은 제 필수 코스가 되어버렸죠. 하지만 프로젝트 진행 초기에는 근처 지리에 대해서 무지했었기 때문에 근처에 얼마나, 어떤 카페들이 있는지 전혀 몰랐습니다. 그래서 찾아볼까 했었지만 직접 걸어다니며..
14. 유저 리서치 첫 번째 방법, 설문조사
·
🙋‍♀️PM/Process, Framework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PM은 고객에 대해서 누구보다 잘 알고, 이해하고 있어야 하는데요. 이를 위해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 바로 '설문조사'와 '인터뷰' 입니다. 인터뷰는 다음 포스팅에서 다뤄보도록 하고, 이번에는 설문조사에 대해 알아보고, 설문조사 작성방법을 이해한 뒤 정리해보겠습니다. 📌 설문조사 실제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설문조사 행위는 구글 폼, 오픈서베이와 같은 형태로 진행되는데요. 이 때 고객에게 체계적인 설문을 제공하지 못하면 원하는 정보를 얻지 못하거나 혹은 설문의 목적에 맞지 않는 정보, 잘못된 정보를 얻게 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설문조사의 경우에도 정해진 규칙과 효율적인 방법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학습이 요구됩니다. 💡 조사 배경과 목..
13. 고객이 하려는 Job 파악하기, JTBD (Just To Be Done)
·
🙋‍♀️PM/Process, Framework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오늘은 고객 집착에서 짤막하게 다뤘던 JTBD에 대한 핵심과 활용 방안, 사용자 인터뷰 가이드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정리해보겠습니다. 📌 JTBD (Jobs To be Done) 사전적 의미로 '완수해야 할 과업'을 의미합니다. 특정 상황에서 고객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Job)에 집중한 고객의 문제 접근 방법입니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JTBD는 프레임워크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형태를 변형해 활용할 수 있는 고객 집착과 관련된 방법론이며, 제품을 사용하는 '이유'에 대한 연구를 하는 것입니다. 💡 JTBD 도식화 JTBD는 고객이 솔루션으로써 구매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가 해결하고자 하는 대상입니다. 고객과 과업, 제품/서비스 간의 관계를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12.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한 실제 서비스 기획 단계
·
🙋‍♀️PM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이번에는 앞서 언급했던 디자인 씽킹과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이뤄지는 실제 서비스 기획이 진행되는 과정을 알아보고 정리해보겠습니다. 📌 Design Thinking Process를 활용한 실제 서비스 기획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및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를 활용한 실제 서비스 기획은 아래와 같이 이뤄집니다. Empathize (공감)타깃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통해 가장 적합한 대표 타깃을 선정합니다.페르소나 (퍼소나)를 활용합니다.Discover (발견)고객 인터뷰 및 관찰을 통해 문제점들을 리스트화 시키는 단계입니다.유저저니 맵 (고객 여정 지도)를 활용합니다.Define (정의)핵심 문제가 무엇인지 정의하고, 그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는 단계입니다.어피니..
11. 디자이너의 관점으로, Design Thinking Process과 Double Diamond Process
·
🙋‍♀️PM/Process, Framework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오늘은 지난 고객 집착에 이어 Design Thinking에 대한 프로세스와 함께 Design Thinking에 항상 함께 따라오는 Double Diamond Process에 대해 다뤄보고 정리해보겠습니다. 📌 Design Thinking Process Design Thinking이란 문제해결을 디자이너의 감수성과 작업방식으로 사고하는 것입니다. 사용자를 이해하고, 가정에 도전하고, 문제를 재정의하고, 프로토타입 및 테스트를 위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비선형적이고 반복적인 프로세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인간을 관찰하고 공감하여 소비자를 이해한 뒤, 다양한 대안을 찾는 확산적 사고와 주어진 상황에 최선의 방법을 찾는 수렴적 사고의 반복을 통하여 혁신적..
10. 고객 집착 (Customer Obsession)과 3가지 관점
·
🙋‍♀️PM/Process, Framework
안녕하세요, 꾸우._. 입니다. 오늘은 고객 집착과 그에 따른 사고에 대해서 알아보고 정리해보겠습니다. 📌 고객 집착 (Customer Obsession) 고객 집착이란 고객의 관점에서 고객의 경험을 개선하는 데 과도하게 집중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PM은 함께 만들어 가야 할 것을 기획함으로써 사업 가치와 고객 가치를 창출하는 책임을 가지는 사람입니다. 그리고 그런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고객이 겪는 문제와 요구하는 것들에 대한 데이터 수집이 필요한데요. 여기서 주의할 것은 고객이 요구하는 것에 집중하는 게 아니라, 고객이 갖고 있는 문제와 그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정확하게 파악하고 구체화하는 것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즉, 고객의 말과 행동, 흔적에서 보이는 것들을 파악하고 고객이 가진 문제를 해..